베트남 포워딩, 특송, 핸드캐리 회사란? 항공 물류 실무 (1) 항공 물류 개요
베트남살이 19개월 차!
처음 시작은 의류였으나 지금은 아주 작은 특송 회사에서 근무중이다.
대학교 4년 내내 배웠던 의류학과는 너무 달라 아직도 뭐가 뭔지 모르고 부딪히는 중이라....
계속 새로운 업계에 대해 공부하고 알아가는 중이다.
베트남에 취직하게 되면, 하노이나 호치민 시내에서 근무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을건데, 구직 사이트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업종이 바로 포워딩, 항공 물류, 특송 쪽이다. (그 외는 다양한 기타 한국기업의 영업사무소 영업직원들 구인)
내가 처음에 많이 해맸던 것처럼 앞으로도 많은 신입들이 베트남에서 항공 물류라는 업종을 처음 접하게 될거고, 포워딩이 뭐야? 항공 물류? 에어카고? 오션카고? 특송? 핸드캐리? 이게 다 뭐야? 라고 할텐대....
이 카테고리에는 이러한 물류에 대해서 내가 가지고 있었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글들을 공유하고,
내가 능력이 되는 안에서 많은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으면 좋겠다 :)
프롤로그
항공업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항공 물류 실무에 내용을 요약하면서 공부를 하고자 합니다.
2011년도 버전이라 지금과는 조금 동떨어질 수 있지만 역사를 배운다는 마음으로 공부합니다.
항공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항공물류 개요
*물류
-사전적 의미
가. 병참술 및 병참 업무
나. 사업의 세부 계획을 입안하여 집행하는 것
다. 원료에서 완제품까지 물자 흐름에 대한 관리
-> 물류란 제품의 생산 완결 단계부터 소비자에게 효율적으로 이동 시키는 활동.
즉 필요한 물품을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시간에 적당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배송함으로써 물품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
그러나 항공업에 종사하면서 필요한 물품을 필요한 장소에 적당한 가격에라는게 결코 쉽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코로나라는 어려운 상황에서 제품을 이탈리아로 보낼 일이 있으면, 보내기 쉬울까요? 그리고 돼지 한마리를 항공기를 이용하여 아프리카까지 적당한 가격에 보내기 쉬울까요? 사실 개요에서 나오는 물류 정의는 정답이지만 그 안에 무수히 많은 의미와 카테고리가 이어져있습니다.
*항공물류(Air Logistics)
-항공화물 운송서비스를 통해 신속, 안전, 정확, 저비용을 목적으로 화주, 항공사, 포워더, 공항터미널, 조업사, 통관사, 육상운송업자, 정부 기관 등 상호 역할 분담에 따라 연관되어지는 제반 활동.
-성공적인 물류를 위한 필수조건: 신속성, 안전성, 정확성, 저비용
-화물운송장(Air Waybill)상에 표기된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모든 제반활동을 말하며, 각 국가의 관련 법규에 따라 공항지역 이외의 제 3의 장소에서 통관할 수도 있다.
[출처] 항공 물류 실무 (1) 항공물류 개요|작성자 HumBle Man